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만인선언 ‘평등하다’ 번역

●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만인선언 ‘평등하다’

 

모든 사람은 존엄하며 자유롭고 평등하다.

우리는 성별, 장애, 나이, 언어, 출신국가, 출신민족, 인종, 국적, 피부색, 출신지역, 외모, 혼인여부, 임신 또는 출산, 가족형태, 종교,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전과,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학력, 고용형태, 병력 또는 건강상태, 사회적신분 등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다.

모두의 존엄과 평등을 위해 우리는 요구한다.

차별금지법 제정하라.

 

[한국 수어]

 

 

 

[네팔어]

 

सबै मानिस मर्यादित ,स्वतन्त्र र समान हुन्छन.

हामि लिंग ,अपांग ,उमेर भाषा ,देशको आधारमा, आफ्नो समुदाय जात,जातियता,राष्ट्रियता,छालाको रंग,आफ्नो क्षेत्र, रुप, बैबाहिक अवस्था ,गर्भवती वा बच्चा  जन्माएको आधारमा,परिवारको स्थिति ,धर्म ,विचार वा राजनीतिक राय,अभियुक्त भएको आधारमा,यौन झुकाब,लिंगको पहिचान ,शैक्षिक् योग्यता,रोजगारको अवस्था,स्वास्थ्य अवस्था,सामाजिक पहिचान, बिगतमा लागेको रोग लगायतको कारणले भेदभाब भोग्नु हुदैन

हामि सबैको गरिमा र समानताकोलागि भेदभाब निषेध कानुन बनाइयोस भन्ने माग गर्दछौ.

 

 

[독일어]

 

Alle Menschen haben das Recht auf Würde, Freiheit und Gleichstellung.

Wir wollen nicht aufgrund des Geschlechts, der Behinderung, des Alters, der Sprache, des Herkunftslandes oder der Ethnie, der Rasse, der Nationalität, der Hautfarbe, der Herkunftsregion, des Aussehens, des Zivilstandes, der Schwangerschaft oder der Geburt, der Familienform, der Religion, der Ideologie oder der politischen Meinung, der Vorstrafe, der sexuellen Orientierung, der sexuellen Identität, des Bildungsstandes, des Arbeitsstatus, der medizinischen Vorgeschichte oder des Gesundheitszustandes, des sozialen Status etc. diskriminiert werden.

Wir fordern für die Würde und die Gleichstellung aller folgendes ein:

Das Gesetz des Diskriminierungsverbots.

 

 

[몽골어]

 

Хүн бүр төрсөн цагаас эхлэн эрх чөлөөтэй, нэр төртэй, тэгш эрхтэй байна. Бид нас хүйс, хөгжлийн бэрхшээл, хэл, яс үндэс, төрсөн улс, нутаг, үндэстэн, арьс өнгө, нүүр царай, гэрлэсэн эсэх, жирэмсэн, хүүхэд төрүүлсэн, гэр бүлийн байдал зэргийг үл харгалзан ижил тэгш эрх эдлэх ёстой.

Мөн шашин болон улс төрийн үзэл бодол, ял эдэлсэн байдал, бэлгийн хандлага, боловсролын түвшин, ажлын нөхцөл байдал, эрүүл мэнд, өвчтэй эсэх, нийгмийн гарал зэргээр хүнийг ялгаварлаж үл болно. Хүн бүрийн байр суурь болон тэгш эрхийн төлөө бид шаардаж байна.

Ялгаварлан гадуурхахыг хориглох хууль гаргахыг шаардаж байна

 

 

[방글라데시어]

 

সমস্ত মানুষ মর্যাদাপূর্ণ, অবাধ এবং সমান। আমরা লিঙ্গ, অক্ষমতা, বয়স, ভাষা, দেশ, জাতি, বর্ণ, জাতীয়তা, বর্ণ, উত্সের অঞ্চল, ধরন, বৈবাহিক অবস্থা, গর্ভাবস্থা বা প্রসব, পারিবারিক ধরণ, ধর্ম, আদর্শ বা রাজনৈতিক মতামত, যৌন দৃষ্টিভঙ্গি, লিঙ্গ , শিক্ষাগত পটভূমি, কর্মসংস্থানের ধরণ, শারীরিক সম্যসা , সামাজিক অবস্থান ইত্যাদির ভিত্তিতে আমাদের সাথে বৈষম্য করা যাবে  না 

আমরা সকলের মর্যাদা ও সমতা দাবি করি। বৈষম্য বিরোধী আইন কার্যকর করুন।

 

 

[베트남어]

 

Tất cả mọi người đều cần được tôn trọng, tự do và bình đẳng.

Chúng tôi không bị phân biệt đối xử bởi giới tính, khuyết tật, tuổi tác, ngôn ngữ, quốc gia xuất thân, xuất xứ dân tộc, chủng tộc, quốc tịch, màu da, xuất xứ địa phương, ngoại hình, tình trạng hôn nhân, mang thai hay sinh con, hình thái gia đình, tôn giáo, hệ tư tưởng hoặc quan điểm chính trị, tiền án, khuynh hướng tình dục cũng như giới tính. Chúng tôi cũng không bị phân biệt đối xử dựa trên danh tính, trình độ học vấn, hình thức việc làm, tiền sử bệnh tật hay tình trạng sức khỏe, địa vị xã hội, v.v.

Chúng tôi yêu cầu sự tôn trọng và bình đẳng của tất cả mọi người.

Hãy ban hành Luật Cấm phân biệt đối xử.

 

 

[스페인어]

 

Todos los seres humanos tienen el derecho de dignidad, libertad e igualdad. 

No debemos ser discriminados por sexo, discapacidad, edad, idioma, origen nacional, origen étnico, raza, nacionalidad, color, región de origen, apariencia, estado civil, embarazo o parto, estado familiar, religión, ideología u opinión política, antecedentes penales, orientación sexual, identidad de género, nivel educativo, situación laboral, historial médico o estado de salud, condición social, etc. 

Por la dignidad y la igualdad para todos, aquí exigimos. 

Legislar una ley antidiscriminación.

 

 

[아랍어]

الحرية والكرامة والمساواة للجميع
لا نقبل التمييز على أساس الجنس، الإعاقة، العمر، اللغة، بلد المولد، العرق، الطائفة، الجنسية، لون البشرة، منطقة المنشأ، المظهر، الحالة الاجتماعية، الحمل أو الولادة، نوع الأسرة، الدين، الأيديولوجية أو الرأي السياسي، السجل الجنائي، الميول الجنسية، الهوية الجنسية، مستوى التعليم، نوع العمل، التاريخ الطبي أو الحالة الصحية، الوضع الاجتماعي ، إلخ.
نحن نطالب بالكرامة والمساواة للجميع.
نطالب بسن قوانين لمنع التمييز.

 

 

[영어]

 

All human beings have the right to dignity, freedom, and equality. 

We are not to be discriminated by sex, disability, age, language, national origin, ethnic origin, race, nationality, color, region of origin, appearance, marital status, pregnancy or childbirth, family status, religion, ideology or political opinion, criminal record,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medical history or health status, social status, etc.

We demand the following for the dignity and equality for all.

Legislate anti-discrimination law. 

 

 

[이탈리아어]

 

Tutti noi esseri umani abbiamo il diritto alla dignità, alla libertà e all’uguaglianza.

Non si deve essere discriminati in base a sesso, disabilità, età, lingua, etnia, razza, nazionalità, colore, paese di origine, aspetto fisico, stato civile, gravidanza o parto, stato familiare, religione, ideologia o opinione politica, fedina penale, orientamento sessuale, identità di genere, formazione scolastica, professione o mancanza di essa, anamnesi o stato di salute, stato sociale, ecc.

Per la dignità e uguaglianza di tutti, chiediamo di legiferare contro la discriminazione.

 

 

[인도네시아어]

 

Semua manusia mempunyai hak atas kemartabatan, kebebasan, dan kesetaraan.

Manusia, tidak dibedakan berdasarkan jenis kelamin, disabilitas, umur, bahasa, negara asal, etnis, ras, kewarganegaraan, warna kulit, asal daerah, penampilan, status pernikahan, kondisi kehamilan atau kelahiran, status keluarga, agama, ideologi atau pandangan politik, catatan kriminal, orientasi seksual, identitas gender, latar belakang pendidikan, pekerjaan, status atau catatan kesehatan, status sosial, dsb.

Oleh sebab itu, untuk kemartabatan dan kesetaraan bagi semua manusia, kami menuntut diberlakukannya undang-undang anti diskriminasi.

 

 

 

[일본어]

 

すべての人は、人はみんな尊厳で自由で平等だ。

私たちは性別、障害、年齢、言語、出身国、民族、人種、国籍、皮膚の色、出身地域、容姿、⑪婚姻の有無、妊娠または出産、家族形態、宗教、思想または政治的意見、前科、性的指向、性自認、学歴、雇用形態、病歴または健康の状態、社会的身分などを理由として差別されない。

みんなの尊厳と平等のために私たちは要求する。差別禁止法を制定しろ。

 

 

[중국어]

 

人人都具有尊严,自由和平等。

我们不会因性别、残疾、年龄、语言、出身国家、出身民族、人种、国籍、肤色、出身地区、外貌、婚姻状况、怀孕或生育、家庭形态、宗教、思想或政治意见、前科、性倾向、性别认同、学历、雇佣形态、病历或健康状态、社会身份等理由受到歧视。

为了大家的尊严和平等,我们要求制定禁止歧视法。

 

 

[캄보디아어]

 

មនុស្សគ្រប់រូបមានសេចក្តីថ្លៃថ្នូរ មានសេរីភាពនិងមានភាពស្មើគ្នា។

យើងខ្ញុំមិនបានរើសអើងមនុស្សដោយសារហេតុផលដូចជា ភេទ, ពិការភាព, អាយុ, ប្រទេសកំណើត, ជនជាតិ, ពូជសាសន៍, សញ្ជាតិ, ពណ៌សម្បុរ, តំបន់ដើមកំណើត, រូបរាង, ស្ថានភាពអាពាហ៍ពិពាហ៍, មានផ្ទៃពោះ ឬ សម្រាលកូន, ប្រភេទគ្រួសារ, សាសនា, មនោគមវិជ្ជា ឬ ទស្សនៈនយោបាយ, កំណត់ត្រាព្រហ្មទណ្ឌ, ទំនោរផ្លូវភេទ, អត្តសញ្ញាណនៃភេទ, ប្រវត្តិនៃការសិក្សា, ប្រភេទការងារ, ប្រវត្តិនៃការព្យាបាល ឬ ស្ថានភាពនៃសុខភាព, ស្ថានភាពសង្គមនោះទេ។

យើងខ្ញុំទាមទារដើម្បីសេចក្តីថ្លៃថ្នូរនិងសមភាពរបស់មនុស្សទាំងអស់គ្នា។

ត្រូវអនុម័តច្បាប់ប្រឆាំងការនឹងរើសអើង។

 

[태국어]

 

ทุกคนล้วนแล้วแต่มีเกียรติ มีอิสระภาพ และความเสมอภาคเท่าเทียมกัน

พวกเราไม่ยอมรับการถูกแบ่งแยกในสังคม

ด้วยเหตุผล ไม่ว่าจะเป็นในเรื่องของ ความแตกต่างทางเพศ, ความพิการทุพลภาพ, อายุ, ภาษา ประเทศบ้านเกิด,เชื้อสายเผ่าพันธ์, ชาติพันธ์,สัญชาติ,สีผิว,พิ้นที่ที่ถือกำเนิด,รูปลักษณ์หน้าตา, สถานะแต่งงานหรือสถานะโสด,การตั้งครรภ์,การให้กำเนิด,สภาพภายในครอบครัว,ศาสนา,

ทัศนคติ รวมทั้ง ทัศนคติทางการเมือง,การมีประวัติเคยกระทำความผิด,รสนิยมทางเพศ, การเลือกเพศของตนเอง,ระดับทางการศึกษา,สภาพการงาน,การเจ็บป่วยเป็นโรค รวมถึง สภาพทางร่างกาย,สถานภาพทางสังคม 

เพื่ออิสระภาพและความเท่าเทียมกันของทุกคน พวกเราเรียกร้องให้ออกบัญญัติกฎหมาย

ห้ามให้มีการแบ่งแยกปฎิบัติอย่างไม่เป็นธรรม

 

 

[프랑스어]

 

Tous les êtres humains ont le droit à la dignité, à la liberté et à l’égalité.

Nous ne serons pas discriminé.e.s à cause de notre sexe, handicap, âge, langue, origines ethniques, couleur de peau, apparence, statut civil, de notre condition de grossesse ou de parentalité, notre religion, idéologie ou opinion politique, casier judiciaire, orientation sexuelle, notre identité de genre, notre éducation, notre parcours professionnel, notre passé médical ou notre état de santé, notre statut social, etc. 

Pour la dignité et l’égalité pour tous.tes, 

Nous exigeons la loi anti-discrimination.

 

 

[필리핀어]

 

Lahat ng tao ay malaya, marangal at pantay.

Hindi namin dinidiskrimina ang anumang usapin patungkol sa kasarian, kapansanan, edad, wika, bansang pinagmulan, lahi, nasyonalidad, kulay, rehiyon na pinagmulan, hitsura, katayuan sa pag-aasawa, pagbubuntis o panganganak, uri ng pamilya, relihiyon, ideolohiya o opinyon sa politika, rekord ng kriminal, oryentasyong sekswal, kasarian, background ng edukasyon, uri ng trabaho, kasaysayan ng medikal o kalagayan ng kalusugan, katayuan sa lipunan at iba pa.

Hinihingi lang namin ang dignidad at pagkakapantay-pantay ng lahat.

Gumawa ng mga batas laban sa diskriminasyon.

 

 

(+) 각국 언어는 계속 추가될 예정입니다.

 

 

행동제안

차별금지법 연속 쟁점토론회 <평등을 토론하라> 자료집 (+추가)

 

 

차별금지법 연속 쟁점토론회 <평등을 토론하라>

 

현재 한국사회의 주요 차별 이슈들을 통해
포괄적 차별금지법안의 구체적인 쟁점과 의미, 제도의 역할을 살펴보고
평등을 위한 사회적 과제를 함께 찾아갑니다!

 

■ 일시 : 2021년 4~5월(총 4차) | 매회차 화요일 오후 2~4시
■ 대상 : 차별금지법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 진행 : 온라인 유튜브 중계
■ 신청 : bit.ly/equalityact-issue

※ 문자통역과 수어통역을 제공합니다.
※ 참가신청자에게 유튜브 링크+자료집을 사전 안내합니다.

 

 

1차 | 2021년 4월 6일(화) 오후 2시
서울시장·부산시장 위력 성폭력 사건
<성희롱과 차별의 구제, 여성노동자의 권리로 정의하기>

• 사회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운동사랑방)
• 발제 | 배진경 (서울시장위력성폭력사건공동행동, 한국여성노동자회)
• 발제 | 조혜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 토론 | 이산 (마임창작자, 성평등작업실 이로)

 

1차 쟁점토론회 후기  |  http://bit.ly/equalityact-issue-01

유튜브 다시보기  |  https://youtu.be/EdRc9Vo53a4

자료집 다운로드  |  

 

2021-0406_차별금지법제정연대_연속쟁점토론회_1차_자료집_fin

 

 

2차 | 2021년 4월 13일(화)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트랜스젠더 혐오차별 실태조사
<차별금지사유로서 ‘성별정체성’이 드러낸 의미>

• 사회 | 예정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 발제 | 이호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수료)
• 발제 | 박한희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 토론 | 임푸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트랜스젠더퀴어인권팀)
• 토론 | 김보명 (부산대 사회학과)

 

2차 쟁점토론회 후기  |  http://bit.ly/equalityact-issue-02

유튜브 시청하기  |  https://youtu.be/EdRc9Vo53a4

자료집 다운로드  |  

2021-0413_차별금지법제정연대_연속쟁점토론회_2차_자료집_fin

 

 

3차 | 2021년 4월 27일(화) 오후 2시
건강가정기본법 개정 건
<복합차별, 차별을 두텁게 보호하고 평등을 재구성하기>

• 사회 | 이종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 발제 | 김순남 (가족구성권연구소)
• 발제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운동사랑방)
• 토론 | 허오영숙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 토론 | 김다정 (장애여성공감)

 

3차 쟁점토론회 후기  |  http://bit.ly/equalityact-issue-03

유튜브 시청하기  |  https://youtu.be/eojHFMb8kdQ

자료집 다운로드  |  

2021_0427_차별금지법제정연대_연속쟁점토론회_3차_자료집_fin

 

 

4차 | 2021년 5월 11일(화) 오후 2시
능력주의와 공정담론
<차별금지법, 능력주의를 넘어>

• 사회 | 지오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발제 |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 발제 | 미류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운동사랑방)
• 토론 | 윤서 (대학입시거부로 삶을 바꾸는 투명가방끈)

 

4차 쟁점토론회 후기  |  

유튜브 시청하기  |  https://youtu.be/eojHFMb8kdQ

자료집 다운로드  |  

2021-0511_차별금지법제정연대_연속쟁점토론회_4차_자료집_fin

 

 

■ 문의 : equalact2017@gmail.com
■ 주최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지원 : 이 행사는 인권재단사람의 지원으로 진행됩니다.

 

 

활동콘텐츠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만인선언 ‘평등하다’ : 참여방법 안내 (국문/영문/수어)

 

 

 

[참여방법 한국수어 안내]

 

 

 

[한국어 안내]

 

평등을 선언하는 우리,
차별금지법 제정을 요구하는 우리,

지금 함께, 만인선언 ‘평등하다’

 

● 만인선언 참여방법
1. 두 명 이상 모인다. 온라인도 OK
2. 선언문을 함께 읽는다. 모든 언어 OK
3. 영상으로 촬영한다. 다양한 배경과 장소 OK
4. SNS 계정에 업로드한다. 해시태그 필수 #만인선언 #평등하다

* SNS계정 없는 분들은 카카오톡채널(@equalityact)로 보내주세요.
* 올려주신 영상은 이후 이 행동을 알리는 영상편집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만인선언문
모든 사람은 존엄하며 자유롭고 평등하다.
우리는 성별, 장애, 나이, 언어, 출신국가, 출신민족, 인종, 국적, 피부색, 출신지역, 외모, 혼인여부, 임신 또는 출산, 가족형태, 종교,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전과,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학력, 고용형태, 병력 또는 건강상태, 사회적신분 등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다.
모두의 존엄과 평등을 위해 우리는 요구한다.
차별금지법 제정하라.

 

 

[English Ver.]

 

We, proclaim equality. We, demand an anti-discrimination law.

Let us all declare “We are Equal” here together.

 

● How to participate
1. Get two or more people together. Virtual gathering is fine too!
2. Read out loud the Declaration together. You are more than welcome to read it in any language!
3. Record a video of your collective reading. Where will be a good spot to shoot a video? Any place!
4. Upload the video to your social media. Don’t forget the hashtags: #PeoplesDeclaration #WeAreEqual

*No worries even if you don’t have a personal social media account. Just send your video to our Kakaotalk channel, @equalityact
*Please note that your uploaded video can later be used as footage for the organizer’s video editing to promote this collective action.

 

● People’s Declaration

All human beings have the right to dignity, freedom, and equality. 

We are not to be discriminated by sex, disability, age, language, national origin, ethnic origin, race, nationality, color, region of origin, appearance, marital status, pregnancy or childbirth, family status, religion, ideology or political opinion, criminal record,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medical history or health status, social status, etc.

We demand the following for the dignity and equality for all.

Legislate anti-discrimination law.

 

 

😀 만인선언 번역문 링크 클릭!

제공 언어 : 한국어, 한국수어, 네팔어, 독일어, 몽골어, 방글라데시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아랍어, 영어, 이탈리아어,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중국어, 캄보디아어, 태국어, 프랑스어, 필리핀어 (이외 더 추가 예정)

 

행동제안

긴급점검!코로나19와 인종차별 토론회

[인쇄자료집]코로나19와인종차별토론회_0402_fin

<긴급점검! 코로나19와 인종차별 토론회>
최근 서울시의 ‘외국인노동자’ 코로나19 전수검사 행정명령을 계기로 전국의 많은 지자체에서 이러한 방식의 행정명령을 시행하였거나 여전히 시행중임이 알려졌습니다. 즉각 비판이 쏟아지고 서울시는 이를 철회, 검사 권고로 한 발 물러섰고 국가인권위원회는 이같은 조치가 차별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렇게 사태는 일단락 된 것일까요? 강원, 대구 등 여전히 몇몇 지자체에서 제재조치를 동반하는 의무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랑곳하지 않고 행정명령을 이어가는 지자체뿐만 아니라 철회한 지역들도 어떤 점이 잘못됬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재발방지 약속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이가 평등하게 안전할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 일시 : 2021년 4월 2일 금요일 오후 3시 – 5시
• 장소: 여의도 이룸센터 교육실 2 / 줌 (zoom) 회의 병행
발제 | ‘외국인노동자’ 코로나19 검사 행정명령, 문제는 사라졌는가 – 최홍조(시민건강연구소)
발제 | 코로나19이후 나타난 이주민 차별 – 우다야 라이(이주노동조합)
토론 | 이진혜 (차별금지법제정이주연대)/ 원옥금 (이주민센터동행)/ 강슬기 (의정부EXODUS)/이종걸 (코로나19성소수자긴급대책본부)
※ 코로나19 방역조치상 현장 참여자는 10명으로 제한됩니다.
※ 문자통역과 수어통역을 제공합니다.
※ 참가신청자에게 메일로 링크와 자료 등을 사전 안내합니다. 어느 방법으로 참여하시든 반드시 참석신청 링크를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 : equalact2017@gmail.com
• 공동주최 :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실, 정의당 장혜영 의원실,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주노동자평등연대,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코로나19인권대응네트워크
• 지원 : 인권재단사람
활동콘텐츠

차별금지법 연속 쟁점토론회 <평등을 토론하라>

 

 

차별금지법 연속 쟁점토론회 <평등을 토론하라>

 

현재 한국사회의 주요 차별 이슈들을 통해
포괄적 차별금지법안의 구체적인 쟁점과 의미, 제도의 역할을 살펴보고
평등을 위한 사회적 과제를 함께 찾아갑니다!

 

차별금지법안의 쟁점과 그 의미가 사회적으로 더 가시화될 수록
차별금지법 제정에 한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반차별 운동의 역할 또한 더 풍성하게 그려볼 수 있을거라는 기대로 시작합니다!
그 자리에 함께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 일시 : 2021년 4~5월(총 4차) | 매회차 화요일 오후 2~4시
■ 대상 : 차별금지법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 진행 : 온라인 유튜브 중계
■ 신청 : bit.ly/equalityact-issue

 

※ 문자통역과 수어통역을 제공합니다.
※ 참가신청자에게 유튜브 링크+자료집을 사전 안내합니다.

 

1차 | 2021년 4월 6일(화) 오후 2시
서울시장·부산시장 위력 성폭력 사건
<성희롱과 차별의 구제, 여성노동자의 권리로 정의하기>

• 사회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운동사랑방)
• 발제 | 배진경 (서울시장위력성폭력사건공동행동, 한국여성노동자회)
• 발제 | 조혜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 토론 | 이산 (마임창작자, 성평등작업실 이로)

 

 

2차 | 2021년 4월 13일(화)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트랜스젠더 혐오차별 실태조사
<차별금지사유로서 ‘성별정체성’이 드러낸 의미>

• 사회 | 예정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 발제 | 이호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수료)
• 발제 | 박한희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 토론 | 임푸른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트랜스젠더퀴어인권팀)
• 토론 | 김보명 (부산대 사회학과)

 

 

3차 | 2021년 4월 27일(화) 오후 2시
건강가정기본법 개정 건
<복합차별, 차별을 두텁게 보호하고 평등을 재구성하기>

• 사회 | 이종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 발제 | 김순남 (가족구성권연구소)
• 발제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운동사랑방)
• 토론 | 허오영숙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 토론 | 김다정 (장애여성공감)

 

 

4차 | 2021년 5월 11일(화) 오후 2시
능력주의와 공정담론
<차별금지법, 능력주의를 넘어>

• 사회 | 지오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발제 |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 발제 | 미류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운동사랑방)
• 토론 | 윤서 (대학입시거부로 삶을 바꾸는 투명가방끈)
• 토론 | 공성식 (공공운수노조)

 

 

■ 문의 : equalact2017@gmail.com
■ 주최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지원 : 이 행사는 인권재단사람의 지원으로 진행됩니다.

 

 

행동제안

[시국선언 연명 요청] 차별금지법은 생존의 요구다

 

:: 3월 24일 열린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시국회의> 참여자들이 시국선언을 제안합니다.

 

:: 시국선언에 동의하는 모든 분들의 연명을 기다립니다.
국회가 더이상 차별금지법 제정을 나중으로 미루지 못하도록 함께해주세요.
■ 연명 마감 : ~4월 6일(화) 자정 마감
■ 연명 신청 : bit.ly/siguksunun

 

:: 4월 8일(목) 발표를 위해 신문광고비용 모금을 진행합니다.
우리의 목소리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모금에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 신문광고 참여 : 우리은행 1005-203-693891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시국선언] 차별금지법은 생존의 요구다 

 

세상을 떠난 누군가의 부고가 전해질 때마다 우리는 친구의 안부를 확인한다. 나는 살아있음을, 우리는 살아갈 것임을 타전한다. 살아 숨쉬고 있음을 세상에 증명해야 하는, 우리의 삶이 우리의 시국이다.

 

벗을 잃은 아픔으로 우리가 숨죽일수록 이 세계는 우리를 지울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외친다. 차별금지법 제정하라.

 

우리는 찬반 투표의 대상으로나 세상에 등장했다. 우리의 존엄은 짓밟혔고 모두가 누려 마땅한 권리는 허락되지 않았다. 한국사회의 차별과 혐오가 심각하다는 점은, 코로나19와 함께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다. 어쩌면 우리 모두 알고 있었다. 직장에서, 학교에서, 각종 시설에서, 차별 한 번 안 당해본 사람이 있을까. 그러나 우리는 침묵을 강요당했다. 조금이라도 항의하면 손가락질 당하기 일쑤였다. 사회는 우리를 침묵에 가두고 차별은 없다는 듯 굴었다. 그러나 차별은 한 번도 멈춘 적 없다. 차별은 이 세계가 굴러가는 방식 그 자체다. 차별금지법 제정에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말은 차별에 대한 합의를 승인하겠다는 말과 다를 바 없다. 차별은 저절로 사라지지 않는다.

 

차별금지법은 생존의 요구다. 우리를 숨 쉬게 하는 법이다. 우리는 용기 내지 않아도 살아낼 수 있는 삶을 원한다. 용기는, 저마다의 꿈을 위해 도전할 때 쓰고 싶다. 존재 자체에 용기를 요구하지 마라. 차별금지법은 자유가 시작되는 자리다. 우리가 고유한 존재로 존중받는 자리, 동료시민으로 함께 서는 연대의 자리다. 차별금지법은 평등의 발판이다. 나로 살기 위해, 너를 지키기 위해, 우리는 대항할 권리를 원한다.

 

‘나중에’ 하겠다는 정부여당에 고한다. 당신들은 ‘지금’을 독점할 권한이 없다. 정의와 진보를 말하면서 혐오에 타협하거나 굴복하는 정치는 이제 지겹다. 국회의 담장 안에 숨어 ‘차별은 나쁘지만 차별금지법은 나중에’라고 변명하는 이들에게 ‘지금’을 내어주지 않을 것이다.

 

촛불의 화려한 껍데기만 가져간 이들에게 말한다. 지금 찬란하게 빛나는 것은 우리의 ‘지금’이다. 우리는 당신들이 만드는 세계에 입장권을 따내려고 구걸하지 않는다. 우리는 당신들이 ‘지금 하지 않겠다’는 말로 세우는 벽을 부수고 세계를 확장할 것이다. 우리와 함께, 들숨에 평등을 느끼고 날숨에 혐오를 날려보낼 세계를 건설할 것이다.

 

우리는 다짐한다. 조용히 숨 죽인다면 우리의 ‘지금’은 영원히 나중으로 밀려날 것이다. 우리는 더욱 소란스럽게 외칠 것이다. 우리는 누군가를 지우는 세상에서 나도 언제든 지워질 수 있음을 잊지 않겠다. 우리도 지워왔을지 모를 소중한 존재들을 더 너르고 단단하게 연결할 것이다. 차별에 맞설 권리와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다.

 

우리는 요구한다. 국회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지금 당장 제정하라.

 

우리는 한국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호소한다. 평등을 위해 지금 나서야 한다. 차별과 혐오 없는 민주주의 사회를 우리가 만들어야 한다. 우리는 더 깊이 숨 쉬고, 더 멀리 나아갈 권리가 있다.

 

2021년 4월 8일 (발표 예정)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활동가 시국회의 참여자 일동 제안

강동진(사회변혁노동자당) 강산  강석영  고운(서울인권영화제) 고운(부산반빈곤센터) 권수현(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권태용(영덕참여시민연대) 금박은주(포항여성회) 기선(인천차제연/인권운동공간 활) 김경서(민달팽이유니온) 김도형(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김두나(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김모드 김미진(장애여성공감) 김민문정/시원(한국여성단체연합) 김민아(정의당 대전시당) 김민정/민뎅(행동하는의사회대구지부) 김민지 (NCCK인권센터) 김소유(사회적협동조합 빠띠) 김신아(한국성폭력상담소) 김여진/여파(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김우희(차별에 맞선 별 별의별+커뮤니티) 김이희윤 김정덕(정치하는엄마들) 김준수 김지선(푸들)(전교조) 김진수/류텐(경남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김찬영(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김태윤/길벗(성소수자부모모임) 김형남(군인권센터) 김혜정(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김혜정/오매(한국성폭력상담소) 김회장 김희옥 까밀로(모모!!) 나래(교육공동체 나다) 남성아(천주교성폭력상담소) 남영란(사회변혁노동자당 부산시당) 넝쿨(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누피 다니(한국여성의전화) 닻별(한국성폭력상담소) 대용(인권운동사랑방) 도구(한국여성단체연합) 도연(광주인권지기 ‘활짝’) 두세계  라라(성소수자 부모모임) 랄라(다산인권센터) 랑희(인권운동공간 활) 레고(서울인권영화제) 레나(한국여성노동자회) 류(한국여성민우회) 류이준(대전녹색당) 류지호(의정부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림  메밀(차별금지법제정 부산연대) 명숙(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모은정(광진주민연대) 몽(인권운동사랑방) 묘랑(인권교육센터 들) 미루(진보네트워크센터) 미류(인권운동사랑방) 민(언니네트워크) 바다(안양여성의전화) 바사(한국여성민우회) 박노일(정의당충북도당) 박래군(인권재단사람) 박씨(교육공동체 나다) 박정순(실천불교전국승가회) 배기남(영등포시민연대 피플) 배병태(종교자유정책연구원) 배서연(F⁶) 배진교(무지개인권연대) 보석(한국농인LGBT 설립준비위원회) 봄눈별(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새시비비(연대하는 교사잡것들) 서이슬(정치하는엄마들) 서창호(대구경북차별금지법제정연대) 서힌(사회변혁노동자당) 소성욱/소주(한국청소년청년감염인커뮤니티알) 손지은(전교조) 송란희(한국여성의전화) 송지은(청소년 성소수자 위기지원센터 띵동) 슈렉(교육공동체 나다) 시엘(언니네트워크) 신상아(서울여성노동자회) 신성연이  신율(언니네트워크) 심기용(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심성은풀  심지(서울인권영화제) 안나(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양한웅  어쓰(인권운동사랑방) 여여  여인두(전남 차제연/정의당 전남도당) 연윤(움직이는청소년센터 EXIT) 예정(차별금지법제정연대) 오태양(미래당) 오혜원(국제청년센터) 와플(인권교육 온다) 우지양(한국농인LGBT 설립준비위원회) 웅(행성인) 원선욱(수원여성회) 원옥금(이주민센터 동행) 유정희(전북불교네트워크) 윤김진서(유니브페미) 윤다림/캔디(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윤서(투명가방끈) 윤일순(정치하는엄마들) 은박(한국여성단체연합) 은석(이주민방송/예술행동한뼘) 이권수(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이단아(원불교인권위원회) 이드(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이미라(안양여성의전화)  이병구(차별금지법제정대전연대/’양심과인권-나무’) 이상재(차별금지법제정대전연대) 이선희(안양여성의전화) 이소희/바람(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이완 (아시아인권문화연대) 이윤경(움직이는청소년센터엑시트) 이종걸(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이종란(반올림) 이주영(맴맴뮤직무브먼트) 이진희(장애여성공감) 이현아(민변) 이혜선 이혜연(인천차제연) 인경(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 인해(인천차제연/아수나로 인천지부) 임보라(섬돌향린교회/무지개예수) 임신규(인천지역연대) 임안젤  임은경/무이(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임주화(광주복지인권연구소)  임태훈(군인권센터) 장규진  장길완(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장종인(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희정((사)한부모가족회 한가지) 전은경(참여연대) 전지윤(다른세상을향한연대) 정 세실리아(사회 혁명 트랜스젠더 유니온) 정민석(인권재단 사람) 정민우(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정보라  정성광(트랜스해방전선) 정수미/수미(언니네트워크) 정영섭(이주노동자평등연대) 정지원  정현(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정혜실(차제연 공동대표) 제로  조서울/화당(행성인, 정의당) 조성은  조영숙(수원여성회) 조장우(차별금지법제정충북연대) 조혜인(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지오(행성인, 차제연) 쩡열(교육공동체 나다) 차유정(문화나눔다가치) 채민(차별금지법제정 전북행동/전북평화와인권연대) 최민서/원더((사)광주여성민우회) 최병현(진보3.0) 최용 치이즈(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치키  칼로  타리  태환(한국농인LGBT 설립준비위원회) 토리(대구여성노동자회) 푸른(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 한가은(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한연화  한영희(정의당 충북도당) 한윤정/온수(한국여성의전화) 한채윤(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희(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혜진(성별이분법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모임 ‘여행자’) 혜진(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홀릭(kscrc) 홍희진(진보당 인권위원회) 황연재  황연주(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황필규(공익인권법재단 공감) 훈창(인권아카이브) B   

 

행동제안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전국 활동가 시국회의 “우리의 삶이 우리의 시국이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전국 활동가 시국회의
“우리의 삶이 우리의 시국이다”

 

차별금지법제정연대에서 전국 활동가 시국회의를 제안합니다.

 

21대 국회에서 차별금지법이 발의되고 제정 요구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논의조차 되지 못한 채 밀리고 있습니다.
평등이 밀려나는 동안 우리의 삶과 일상도 밀려나고 있습니다.
차별금지법 없는 지금 여기의 삶이 우리의 시국입니다. 그러나 이만큼의 길을 내온 것도 우리입니다.
함께 걸어온 우리를 응원하며 더 큰 힘을 모을 방법을 논의하려고 합니다.

 

끝까지, 함께 걸어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 일시 | 2021년 3월 24일(수) 19:30~21:30
■ 안건 | 대국회 투쟁 계획 및 시국선언문 발표
■ 참여 | 차별금지법 제정에 힘을 보태고 싶은 누구나
■ 방식 | 온라인 줌 회의 (신청자에 한해 참석)
■ 신청 | https://bit.ly/sigug_2021
■ 기간 | ~2021년 3월 22일(월)까지

■ 문의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홈페이지 equalityact.kr
– 이메일 equalact2017@gmail.com

 

 

미분류

[추모행동]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변희수_하사를_기억합니다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변희수_하사를_기억합니다

故 변희수 하사를 함께 기억하는 추모행동을 제안합니다.

 

♠️ 3월 6일(토) 오후 3시 시청역 출발 지하철 2호선 (시청역→을지로입구역 방향)
열차를 타고 각자의 마음을 담아 책을 펼쳐 읽어요.

* 시청에서 시청까지 약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 시청에서 함께 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중간에 다른 역에서 합류하시면 됩니다.

 

♠️ 3월 6일(토) 오후 4시 30분, 서울광장
故 변희수 하사가 기자회견을 열었던 시각, 서로를 지지하며 우리의 꿈을 함께 기억합니다.

 

♠️ 안내
– 서로를 알아볼 수 있다면 더 좋겠습니다. 함께 나누고 싶은 것을 준비해도 좋겠습니다.
– 당일 오픈카톡방을 운영합니다. 지하철 추모행동 합류 및 주요 환승역 정차 등을 안내하고, 참여자들이 함께 인증샷과 추모의 문장 및 마음을 나누는 공간으로 운영합니다.
https://open.kakao.com/o/gnBQxO0c

 

♠️ 진행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복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문의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홈페이지 equalityact.kr
– 이메일 equalact2017@gmail.com
– 트위터 @equalact 페이스북 @equalact2017
– 카카오톡 채널 @equalityact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 홈페이지 lgbtqact.org
– 이메일 lgbtqact@gmail.com
– 트위터 @rainbowactionkr 페이스북 @lgbtactkr

 

행동제안

[자료집] 온전한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쟁점 토론회 <종교기관 예외조항, 무엇이 문제인가>

 

2020-1223-차별금지법제정연대_쟁점토론회_종교기관예외_자료집_fin

 

온전한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쟁점 토론회 <종교기관 예외조항,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이 준비중인 「평등법안」에 ‘종교기관 예외’ 조항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직 「평등법안」이 발의된 것은 아니나, 해당 조항은 ‘종교의 지유’를 보장하기보다 현재의 종교를 이유로 한 차별을 심화시키고 ‘모두를 위한 차별금지법·평등법’의 입법 취지를 후퇴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쟁점토론회에서는 ‘종교기관 예외’ 조항의 문제점과 함께, 현재 한국사회의 ‘종교차별’과 관련한 구체적인 실태와 영향을 살피면서 모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입법의 방향을 나누었습니다.

 

• 일시 : 2020년 12월 23일(수) 오후 2시~4시 30분

• 장소 : 온라인 줌(Zoom) 토론회

• 수어통역 및 문자통역

 

• 토론회 진행
사회 | 몽 (인권운동사랑방)
발제 | 30분 ‘종교기관’ 예외조항의 문제점과 영향 – 조혜인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토론 | 60분
토론 1. 김성연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토론 2. 박한희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토론 3. 우삼열 (차별금지법제정이주인권연대)
토론 4. 류민희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토론 5. 백찬홍 (종교자유정책연구원)
쉬는 시간 | 10분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 40분

 

• 주최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equalityact.kr

• 문의 : 이메일 equalact2017@gmail.com
트위터 @equalact 페이스북 @equalact2017 카카오톡 채널 @equalityact

 

 

활동콘텐츠

[토론회] 온전한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쟁점 토론회 <종교기관 예외조항, 무엇이 문제인가>

 

온전한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쟁점 토론회 <종교기관 예외조항,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이 준비중인 「평등법안」에 ‘종교기관 예외’ 조항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직 「평등법안」이 발의된 것은 아니나, 해당 조항은 ‘종교의 지유’를 보장하기보다 현재의 종교를 이유로 한 차별을 심화시키고 ‘모두를 위한 차별금지법·평등법’의 입법 취지를 후퇴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쟁점토론회에서는 ‘종교기관 예외’ 조항의 문제점과 함께, 현재 한국사회의 ‘종교차별’과 관련한 구체적인 실태와 영향을 살피면서 모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입법의 방향을 찾아가고자 합니다.

 

• 일시 : 2020년 12월 23일(수) 오후 2시~4시 30분

• 장소 : 온라인 줌(Zoom) 토론회

• 수어통역 및 문자통역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사전신청 : http://bit.ly/2Lw5fsC
– 본 토론회는 사전신청자에 한 해 참여가 가능합니다.
사전신청자분들께 토론회 당일 접속링크 및 번호를 문자 및 이메일로 안내해드립니다.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 TV조선, 채널A, MBN 등 본 토론회의 취지와 어긋나는 언론사의 취재를 거부합니다.

 

• 토론회 진행
사회 | 몽 (인권운동사랑방)
발제 | 30분 ‘종교기관’ 예외조항의 문제점과 영향 – 조혜인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토론 | 60분
토론 1. 김성연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토론 2. 박한희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토론 3. 우삼열 (차별금지법제정이주인권연대)
토론 4. 류민희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토론 5. 백찬홍 (종교자유정책연구원)
쉬는 시간 | 10분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 40분

 

• 주최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equalityact.kr

• 문의 : 이메일 equalact2017@gmail.com
트위터 @equalact 페이스북 @equalact2017 카카오톡 채널 @equalityact

 

 

행동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