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예감]’을’들의 이어말하기 (1) 숨겨지는 사람들의 커밍아웃 : 최현숙


 


 


평등예감 ‘을’들의 이어말하기


 


첫번째 이어말하기 | 숨겨지는 사람들의 커밍아웃


 


차별의 이야기를 어떻게 꺼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성정체성, 일하는 조건, 나이, 장애에 따라 여러 가지 조건에 놓여 있지만,


그것을 이유로 우리를 안보이는 곳에 치우려는 힘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 힘에 맞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한 명은 숨겨질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를 숨길 수는 없을 겁니다.


 






 


 




일곱 번째 이야기손님 


노동과 비노동의 경계에 선 돌봄노동자, 최현숙


 



 





여성 / 나이 만 56년 8개월 / 활동가(진보정치, 노동운동, 인권운동) / 요양보호사 / 글쓰기 / 만 29세의 아들과 동거 중




과거




– 수많은 무임금의 노동들 : 가사노동, 사회운동 활동가




– 임금을 받으며 한 노동의 종류들은 결혼 전의 영업사원(약 6개월)에 이어, 남편의 사업 보조, 중고생 수학과외, 사회운동가 (활동비 / 천주교 사회운동 상근자, 진보정치 당직자, 노동운동 상근자 등), 약간의 글이나 강의 수입 등이었다. 경제 상황만을 놓고 볼 때, 40대 초반 4년간의 “중고생 수학과외”의 수입으로 이제껏 버티고 있는 형국이다. 


  


현재 




– 만 52세(2009년)에 시작한 요양보호사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임금노동. 




– 돌봄 노동(간병, 요양, 장애활동보조, 산모신생아 도우미 등)은 거의 모두 여성 베이비부머들(현재 5060세대)이 하며, 국가 복지의 확장 속에서 가정내 여성의 무급노동이 가장 싸구려의 사회노동으로 전환 된 것.




– 대부분 최저임금(현재 시급 4860원)이 적용되고, 대부분 시급노동이다. 잦은 당일해고를 비롯한 일자리의 불안정, 최하위의 임금, 부당노동 요구 등으로, 대부분 실업과 비실업 및 돌봄노동간 +청소/식당/가사도우미 등의 노동들을 들락거린다. 




– 진보정치(+성소수자인권) 활동가로서의 경력으로 노동운동 내에서 일정한 활동 이상에 대한 배제를 경험했고, 노동운동 활동가의 경력으로 현재는 돌봄노동 현장에서 취업이 어렵다. 




– 현재는 글쓰기 작업을 위해 최저임금 노동마저 포기한 실업상태이며, 더 이상 버티기 어려우면 최저임금의 시급 노동자로 1일 4시간의 요양노동을 할 예정이다.(최대 월 50만원)




미래 




– 국민연금 미적용 / 국민기초수급 대상자 아님 / 자식의 부양능력 현재로서는 불가. 




– 신자유주의 사회가 생산/홍보해 대는 욕망들의 와중에서, 나의 실존적 욕망을 직시하며, 이를 위한 지출과 수입을 조정하고, 자존감과 자괴감의 정체를 냉철하게 분석하고 정리하여 나누며, 끝까지 사회운동의 활동가로 살로서 나와 사회를 행복하게 하는 활동을 하며 살 예정.




– 적정한 시점에 의료와 적정한 거리를 두고 죽음을 통과할 예정






가난한 베이비부머 여성들의 전반적 상황




– 1954년~ 1960년대 초반 출생 / 가난한 어린 시절 / 산업발전 사회에서 최하위 노동(식모, 차장, 공장노동, 건설현장 등) / 결혼을 통한 경력 단절 + 육아와 가사노동을 하며 노동/비노동의 경계에서 경제활동 단속/지속 / “산업사회 역군“(현재 통칭 베이비부머 세대)으로 불리우는 남편과의 가부장적 관계 / 4050을 전후로 한 남편들의 사회적 퇴출 + 본인들의 양육, 돌봄 노동 축소 + 가계의 보조/주체적 책임을 위해 노동현장으로 나옴. (유통/식당/청소/돌봄 등의 노동) + 자영업 폐업 등




– 사회/임금 노동을 계기로 가정을 넘어선 여성/노동자/시민으로서의 자아와 자신감 찾기 경험(가정 내 가부장적 억압의 약화) 




– “노동자 정년 60세 제도화” 논란 과정은 법과 사회가 여성/베이비부머들을 노동자의 범주에 넣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주요 사례이고, 남성의 생애 주기에 맞춘 것이며, 현재의 남성들에게조차 실제적 적용이 어려운 제도임. 




– 대부분의 돌봄 노동자는 5060세대 여성이며, 그 중 특수고용 노동자(근기법 적용 안됨)인 간병은 6070세대 여성들이 하다가 현재는 중국교포 여성 노동자들이 8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 (간병비의 제도화는 시민과 노동자들에게는 절실한 의제)




– 건강 퇴조, 노후의 경제적 준비 미약 +부모 돌봄의 의무 + 자녀세대의 미독립 등으로 경제적 가난은 여전. 




– 미래에 대한 불안, 신자유주의가 생산해대는 욕망, 물질만능의 평가 기준들 속에서의 자괴감, 우울증




– 뒤늦은 사회적 경험을 통한 사회적 존재로서의 욕망과 여유/자유 경험




– 개인의 생애와 현황과 미래에 대한 사회화의 과제 : 여성/인권 운동, 지역/정치운동, 노동운동의 과제


 


 


 


 


첫번째 이어말하기 | 숨겨지는 사람들의 커밍아웃


 


 
























첫번째 이야기 손님


모자이크로 덧칠해져 있는


상처를 이겨내고 싶은


정욜



두번째 이야기 손님 


평범한 삶의


차이와 차별을 다시 묻는


김광이



세번째 이야기 손님


잃어버린 시간으로부터


살아남은 아이


한종선


 



 


네번째 이야기 손님


구별과 경계를 뛰어넘어


함께 사는 세상을 원하는


정혜실 


 
























다섯번째 이야기 손님


자기소개 시간이 싫은


공기



여섯번째 이야기 손님 


난 사장이 아니라는


유명자



일곱번째 이야기 손님


노동과 비노동의 경계에


선 돌봄노동자


최현숙


 


 


 


 



 


 


 


 


 

활동보고

댓글

*